맑음
SEOUUL
JAYANGDONG
17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서치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회원가입
로그인
전체 메뉴
전체 메뉴
탐방
인터뷰
오피니언
칼럼
기고
기획
기획기사
마케팅 퀴즈
마케팅 밈
마케팅 뉴스
탐방
인터뷰
오피니언
칼럼
기고
기획
기획기사
마케팅 퀴즈
마케팅 밈
마케팅 뉴스
전체 기사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탐방
인터뷰
오피니언
기획
마케팅 뉴스
신문사 소개
기사제보
광고문의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서치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Home
기획
기획
기획 전체
기획기사
마케팅 퀴즈
마케팅 밈
다음
이전
기획기사
[마케터의 서재] 입소문은 전략이다 <컨테이저스 전략적 입소문>
입소문을 활용한 바이럴 마케팅은 다른 마케팅 활동에 비해 비용 대비 효과가 높은 편이에요. 고객이 친구나 지인에게 자발적으로 메시지를 퍼뜨리기 때문에 메시지가 빠르게 확산되기 때문이죠. 그리고 기업에서 우리 제품이 좋다고 백날 외치는 것보다, 주변 지인의 "야. 이거 써봤어? 되게 괜찮더라." 하는 한 마디가 더 신뢰가
박지원 기자
2023.05.25 09:40
마케팅 밈
[마케팅밈] 비질게
~ 재미로 보는 마케팅밈 ~ 비질게
박지원 기자
2023.05.25 08:47
기획기사
[마케팅 이슈] 카카오톡, 3번째 탭 메뉴가 공개됐다
카카오톡의 세 번째 메뉴 자리에 어떤 서비스가 올 것인지 많은 사람이 궁금해했는데요. 역시나 대부분이 예상했던 대로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 세 번째 자리의 주인공은 오픈채팅이었습니다. 기존에 있던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인 '카카오 뷰'는 '더 보기' 메뉴로 옮겨갔어요. 현재는 일부 사용자를 대상으로 적용되었고, 5월 말까지
박지원 기자
2023.05.22 08:27
기획기사
[마케터 픽] 효과적인 표현을 위한 '무료 아이콘' 추천 사이트
아이콘은 보는 것만으로도 그 기능과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함축적이고 효과적으로 전달해줘요. 디자인 평론가 스티븐 헬러가 '아이콘은 언어다'라고 말했듯, 아이콘만 가지고도 어느 정도 대화가 가능할 정도로 직관적이고 정보의 내용을 함축하고 있죠.이러한 아이콘은 디지털 마케팅에도 자주 사용됩니다. 디스플레이를 통해 광고 메시
박지원 기자
2023.05.18 08:26
기획기사
[트렌드핫키] MZ세대? 이제는 '잘파세대'
젊은 세대를 뜻하던 MZ세대라는 단어를 이제는 버려야할 때가 되었어요. 이제 새로운 트렌드 주도층으로 '잘파세대'가 떠오르고 있기 때문인데요.잘파세대는 1990년대 중반~2000년대 후반에 출생한 세대를 의미하는 Z세대와 2010년대 초반 이후 출생한 세대를 의미하는 알파세대의 합성어로 1990년대 중반 이후 출생한 세대
박지원 기자
2023.05.16 10:55
기획기사
[마케팅 이슈] 뉴미디어 대표주자 버즈피드, 뉴스 사업 접는다
'피해야 할 여자친구 유형 13가지' 이런 콘텐츠를 페이스북에서 보신 적 있으신가요? 리스티클이라고 부르는 형식의 바이럴 콘텐츠입니다. 온라인 방문 1위, 뉴욕타임스보다 더 많은 방문자수를 달성, 퓰리처상을 수상하는 등 승승장구했던 '버즈피드(Buzz Feed)'의 대표적인 콘텐츠인데요. 한때 뉴미디어의 대표 주자로 엄청
박지원 기자
2023.05.16 10:55
기획기사
[마케팅 이슈] 제 2의 전성기를 맞은 OOH 광고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옥외(OOH) 광고에 관심이 있으신가요? OOH는 Out-of-Home의 약자로 집 바깥 장소에서 접하는 미디어를 뜻하는 말인데요. 고층 건물에 매달린 커다란 전광판이나, 버스에 붙어있는 광고가 바로 여기에 속해요. 옥외광고라는 말로 부르기도 하고요.OOH를 옛날에나 했던 광고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박지원 기자
2023.05.11 09:56
기획기사
[마케팅 이슈] 하락세 걷는 광고 시장, AI에서 돌파구 찾는다
광고가 주 수익원인 플랫폼들의 올해 1분기 성적표가 속속 공개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광고의 상당수가 네이버, 페이스북, 구글 등 빅테크 기업들을 통해 집행되기 때문에 이 기업들의 성과를 보면 지난 분기 광고시장이 어떠했는지, 그리고 향후 흐름도 예상해 볼 수 있어요.방송통신광고비조사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전체 온라인 광고
박지원 기자
2023.05.08 09:34
기획기사
[마케터의 서재] 고객 중심 스토리가 브랜드를 살린다...<무기가 되는 스토리>
우리가 하루에 일반적으로 하루에 접하는 광고 수는 3000개에서 1만개나 된다고 해요. 그런데 그중 몇 개나 고객의 기억에 남아있을까요.몇몇 개를 제외한 대부분의 광고가 별 인상을 남기지 못하고 의식 저편으로 흘러가요. 사람은 너무 많은 정보 처리 과정이 필요할 때는 에너지를 아끼기 위해 쓸모없는 정보를 무시하도록 진화했
박지원 기자
2023.04.27 21:27
마케팅 밈
[마케팅밈] 마케터 절약방
~ 재미로 보는 마케팅밈 ~ 마케터 절약방
박지원 기자
2023.04.27 17:53
기획기사
[마케팅 이슈] 20년 만의 가장 심각한 도전, 구글의 대처는?
20년 넘게 검색 시장의 절대강자로 군림해 온 구글이 최근 중대한 도전을 맞이하고 있어요. 구글은 전 세계에서 93%에 달하는 검색엔진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챗GPT 출시를 기점으로 시장 상황이 달라지면서 점유율이 줄어들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어요.뿐만 아니라 삼성전자에서 기본 검색 앱을 구글이 아닌 MS의
박지원 기자
2023.04.24 09:53
기획기사
[트렌드핫키] 절약방 "서로 절약을 독려해요"
MZ세대 사이에서 거지방이 떠오르고 있어요. 소비방, 절약방이라고도 하는데요. 카카오톡 오픈채팅 방에 모여서 자신의 지출내역을 공개하고 다른 사람들의 평가와 조언을 받기도 하죠.또, 이곳에서 나온 재미있는 대화는 밈으로 만들어져 SNS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기도 해요. 생수를 샀다는 사람에게 ‘곧 비가 온다는데 조금 더 기
박지원 기자
2023.04.24 09:06
기획기사
[마케팅 이슈] "요즘은 디스코드에서 소통 한다며?"
온라인 게임을 즐겨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디스코드, 다른 사람들과 음성으로 채팅할 수 있는 앱인데요.디스코드의 발표에 따르면, 2022년 1분기 월간 사용자 수가 1억8,300만 명을 넘었고 130개가 넘는 국가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한 달 평균 약 100억 개의 메시지가 오고 갔다고 합니다. 2020년에는 미국
박지원 기자
2023.04.20 09:59
기획기사
[트렌드핫키] 리퀴드 소비…"한 곳에서만 소비하지 않아요"
예전에는 주로 이용하던 어플이나 브랜드에서 지속적으로 구매를 했었는데요. 최근에는 혜택을 더 많이 주거나 마음에 드는 상품이 있는 곳을 찾아 소비하는 추세예요.특정 브랜드만 따지지도 않고, 잘 몰랐던 브랜드라도 내 마음을 움직이는 제품이라면 지갑을 열게 되는 겁니다. 비싼 제품은 렌털해서 써보기도 하고, 정말 필요하지 않
박지원 기자
2023.04.17 09:56
기획기사
[마케팅 이슈] 티메파크 인수한 큐텐, 국내 이커머스 '빅 4' 되나
티몬과 위메프, 그리고 인터파크 커머스를 모두 인수한 회사가 있어요. 바로 싱가포르에서 시작해 몸집을 불려 온 큐텐(Qoo10)이 그 주인공이죠. 이 회사들이 한 식구가 되는 것은 누구도 쉽게 예상하지 못했을 텐데요. 해외직구 시장에 초점을 맞추며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서는 한 발 떨어져 있던 큐텐이 본격적으로 국내 시장에
박지원 기자
2023.04.17 09:50
기획기사
[마케팅 이슈] "찐팬이 경쟁력이다" 커뮤니티에 주목하는 기업들
지난해, 네이버가 스포츠를 주제로 팬들이 함께 대화를 나누는 오픈톡 서비스를 출시하며 많은 관심을 모았는데요. 연말에 열린 카타르 월드컵 오픈톡에는 278만 명이 모이며 커뮤니티 서비스로 입지를 다지고 있어요. 올해는 스포츠 분야를 넘어 MBTI, 게임, 드라마 등 다양한 주제로 확대하는 중이에요.커뮤니티 서비스 강화에
박지원 기자
2023.04.13 15:02
마케팅 밈
[마케팅밈] 부러운 마케터 순위
~ 재미로 보는 마케팅밈 ~ 부러운 마케터 순위
박지원 기자
2023.04.13 13:10
기획기사
[마케팅 이슈] 브랜드와 인플루언서를 연결하는 브랜드 커넥트
네이버는 인플루언서에게 기업의 협찬을 받고 홍보용 체험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브랜드 커넥트(Brand Connect)'라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어요. 지금까지는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은 브랜드스토어나 협력 대행사만 가능했는데요. 이번에는 일반 스마트스토어도 이용할 수 있도록 대상을 확대했다고 해요.
박지원 기자
2023.04.10 20:28
1
|
2
|
3
|
4
|
5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