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클릭이 이런 저런 서비스를 출시하며 공룡 플랫폼 사이에서 틈새를 장악하기 위해 분주하는 것 같습니다.
인터넷의 글로벌화.... 처음 인터넷 쇼핑몰이 개설될 때 이러한 특징을 내어놓았지만 그것이 실현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군요. 그래도 결국 올 것은 오나봅니다.
'스낵 컬쳐'라는 용어는 매우 중요해보입니다.
저도 폐쇄형이 좋아요. 그런데 마케팅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모여 있는 것이 편하긴 한데요. 이렇게 서비스가 뿔뿔이 흩어지면... 머리 아프죠. ^^;
미국의 이야기이긴 하지만 소매업체의 경우 페이스북보다 핀터레스트를 더 선호하는군요.
페이지를 평가할 수 있는데... 이것이 익명으로 가능하다고 그러네요. 그럼... 우리나라의 경우... 흐 ~~~ 뻔합니다. ^^;;
전연령대에서 카카오스토리가 갑이네요. ^^;
10대들이 페이스북을 떠나고 있다고 하는데 이에 대한 대안을 찾기 위한 노력일까요?
아마존에서 염동훈 대표를 영입한다고 하는데 쇼핑 분야가 아닌...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라고 합니다.
구글 크롬북이 크게 시장을 넓혀나가지 못하는 가장 큰 진입장벽이 바로 MS의 오피스 때문이라고 하네요. 고객 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잘 기억해두어야 하겠습니다.
구분선
당신의 업무를 변화시킬 마케팅 뉴스를 구독해보세요!